본문 바로가기
Naver Cloud Platform

[NaverCloud] Server에 Storage 생성 후, mount하는 작업하기. (Block Storage)

by 클수저 2023. 11. 27.
728x90
반응형

실습을 위한 생성 된 서버

Server의 Storage를 붙이는 작업이기 때문에 실습을 위한 서버를 생성했다.

서버는 KR1에 만들었으며, 위 화면에서 스토리지 부분에 있는 디렉토리의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서버에 스토리지를 마운트 할때 CLI에서 활용 될 것이기 때문이다.

 

 

Server의 Storage를 생성

주의사항, Storage서비스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서버의 Storage를 생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Server 메뉴에 있는 Storage를 선택한다.

 

XEN방식을 선택 후, 스토리지의 이름과 적용서버를 선택해주는데 맨 처음 화면에 있는 테스트를 하기 위한 서버와 연결을 해준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만든 서버의 Zone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fdisk 명령어를 통한 파티션 생성

fdisk /dev/xvdb

fdisk 명령어를 통해서 파티션을 생성한다. 파티션은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를 여러개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분할 하는 것이다.  해당 서버에 있는 물리적 디스크를 공간을 할당해주는 것이다.

 

/dev/xvdb는 서버를 생성 했을 때, 하단에 있는 스토리지 정보에 있는 내용에서 확인 할 수 있다.

mkfs 명령어 사용

mkfs 명령어를 통한 파일시스템을 등록한다.

centos 7.0 아래 버전은 ext4 
7.0  버전부터 xfs 

 

mkfs.xfs /dev/xvdb1

Make File System의 줄인말로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 및 접근할 수 있도록 보관 또는 조직하는 체제를 가리키는 말이다. 즉, 해당 서버 안에 있는 파일, 자료를 쉽게 접슨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dev디렉토리 안에 xvdb1에 자료를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디렉토리 생성 후, 스토리지를 붙이는 작업

mkdir /storage
mount /dev/xvdb1 /storage

해당 서버 안에 mkdir 로 storage라는 디렉토리를 생성 후, /dev/xvdb1 스토리지를 /storage 디렉토리와 mount 명령어로 마운트 해준다.

그러면, df -h 명령어에서 처음 보이지 않았던 storage가 마운트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Mount'
마운트, 영어 뜻으로 올라타다 이다.
Linux 시스템에서 많이 쓰이는데,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CD, DVD, USB메모리 등을 사용할 때 특정한 위치에 연결을 해줘야 한다. 물리적인 장치를 특정한위치(주로는 디렉토리)에 연결시켜주는 과정.

mount 개념의 대표적인 예시

기차는 서울역에서 정차 = 디스크를 디렉토리에 마운트

홍길동은 서울역에서 기차를 탄다 = 데이터를 마운트 디렉토리에 저장

기차는 홍길동을 태우고 목적지까지 간다 = 물리적인 디스크에 저장

 

기차는 리눅스에 있는 물리적인 장치

서울역은 마운트 된 디렉토리

홍길동은 저장 될 데이터

 

test.txt라는 데이터를 /data에 저장하면 실제로 해당 데이터는 /dev/sda1 디스크에 저장된다.

그러면 후에 /dev/sda1에 /data2 디렉토리를 마운트 시키면 test.txt 데이터는 보이지 않을 뿐 /dev/sda1 저장 되어 있다.

 

쉽게 말해서 test.txt를 물리적인 /dev/sda1에 접근하기 쉽도록 하는 작업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