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78 [NaverCloud] 네이버클라우드 DB서비스를 통한 Cloud for MySQL 서비스 사용하기. DB서버 생성 및 FailOver기능 MySQL서비스를 이용해서 DB서버에 접속을 해보려한다. DB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은 많지만, 외부에서 DB서버를 접속하는 방법을 이용해보려고 한다. 그렇기 위해서는 VPN 서버스까지 활용하는 것을 같이 진행해보려한다. NaverCloud에 Cloud DB for MySQL서비스이다.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완전관리형으로 해주는 서비스이다.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기 전 다양한 설정을 통해서 생성을 할 수 있다. 고가용성 지원을 통해서 DB서버를 자동으로 2개를 생성해서 DB서버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바로 이용할 수 있는 DB를 생성한다. VPN을 통해서 접속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Private Subnet을 선택해서 생성한다. 서버이름은 tetingdb로 생성한다. 그외에는 DB스토리지 타입,용량을 선택한다... 2023. 11. 23. [NaverCloud] Load Balancer(로드밸런서)를 통한 트래픽분산 테스트 해보기! Load Balancer는 기본적으로 트래픽분산, 헬스체크 용도로 서버가 많을 때 관리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간단하게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Load Balancer를 통해 2개의 서버에 다른 내용을 넣어서 서버가 바뀌는지 확인해보려한다. 기본 웹 서버를 하나 생성해뒀고, 웹서버 이미지를 통해서 서버를 또 하나 생성했다. 총 2개의 서버가 Public Subnet에 위치해 있다. Load Balancer 서비스 안에 Load Balancer Target Group 2개를 설정해서 테스트를 진행해본다. 서브넷을 생성할 때, 기본적으로 Private와 LoadBalancer를 용도로 설정해야 Load Balancer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용도가 다를 경우, 실제 Load Balancer에서 S.. 2023. 11. 23. 서버에 HTML 파일 넣어 서버 띄워보기! HTML이 들어가 있는 httpd의 conf 파일로 이동한다. cd /etc/httpd/conf vi httpd.conf vi편집기 명령어를 활용해서 httpd.conf 파일로 들어간다. 아래와 같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위에 파일에서 확인한 www와 html 폴더로 이동한다. 명령어를 활용해서 index 파일을 만들어서 내용을 채워보자. touch [파일이름].html 위 명령어로 html 파일을 만들고, ls 명령어로 생성이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vi편집기에서 내용을 채운다. 안녕하세요 '서버1'입니다. vi편집기를 활용하는 것은 아래와 같다. insert 버튼 : 편집시작 ESC 버튼 : 편집 종료 :wq 저장하고 종료 서버 공인IP 주소로 접속하면 위와 같이 HTML파일에 작성한 내용이.. 2023. 11. 23. AWS WAS(Web Application Server) 생성 후, Apache Tomcat으로 서버 연결하기! AWS에서 WAS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Apache Tomcat과 연결해서 서버가 동작하는 것을 실습하려고 한다. AWS WAS는 사실상 EC2 인스턴스 서버를 생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AWS EC2 인스턴스 개념 및 서버 구축하기 (tistory.com) AWS EC2 인스턴스 개념 및 서버 구축하기 AWS EC2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 EC2는 Elastic Compute Cloud의 줄임말로서 AWS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이다. 즉, 우리가 흔히 보는 컴퓨터를 가상으로 빌려 cloudjs.tistory.com AWS WAS ☞ SSH로 접속하기 MobaXterm을 활용해서 SSH로 서버에 접속을 해보려 한다. WAS.. 2023. 11. 6. 이전 1 ··· 15 16 17 18 19 2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