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77

리눅스(Linux) PATH(경로) 개념 이해하기! 상대경로와 절대경로 차이 리눅스에서 작업을 많이 하면 경로에 대한 이슈는 정말 많이 발생한다.경로만 이해를 잘해도 사실 리눅스를 다루는데 정말 많이 수월한데 나는 아직도 어려운 부분이 있어서 블로그에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 파일 시스템은 지도, 나는 현재 위치!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은 하나의 커다란 지도라 가정해본다.이 지도에서 "/"는 가장 꼭대기, 즉 루트 디렉토리지금 이 지도 어딘가에 위치해 있고,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경로를 적는 걸 상대경로,지도 전체를 기준으로 절대적인 주소를 적는 걸 절대경로라고 해.🔝절대경로 (Absolute Path)최상위 디렉토리(/)부터 이동할 디렉토리까지 전체 경로를 입력하는 방법항상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현재 작업 디렉토리와 무관하게 항상 같은 경로어디에 있든지 항상 같은 경로예.. 2025. 3. 21.
리눅스(Linux) 디렉토리 구조 이해하기 /bin? /dev? /etc? 클라우드 쪽 업무를 계속하면 필수적으로 리눅스 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리눅스의 운영체제 이해도가 부족하면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특히나 디텍토리를 모르면 더더욱 어렵다. /var, /bin........그래서 가장 많이 들어보고 사용해봤던 디렉토리 위주로 정리해서 개념을 이해해보고자 한다. 리눅스의 기본구조 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루트 디렉터리를 시작으로 트리 구조(directory tree)로 구성항상 시스템 전체에 단 하나의 트리만 가진다.리눅스에서는 디스크가 여러개 있다면 루트디렉토리 어딘가에 연결되어(마운트) 루트는 1개를 가진다. 1. /bin (필수 실행 파일이 있는 곳) 비유: 주방에 있는 필수 조리 도구설명: bin은 "binary"의 줄임말이고, 여기에는 리눅스가 동작하는 데 꼭.. 2025. 3. 20.
JIRA 이해하기, Version(버전)과 Release(릴리스) 관리 JIRA Release와 Version에 대해서 기능을 구체적으로 작성해봤다.Version버전은 프로젝트의 특정 시점의 결과물을 의미하며 여러 개선 사항이나 버그 수정등을 논리적으로 묶은 단위버전 정보를 아래와 같이 작성(예시)버전명: 1.0시작 날자: 오늘릴리스 날짜: 4주후동인(Driver): 이 릴리스를 담당하는 직원으로 기본 값으로 놔둡니다.설명: “고객에게 최초 공개”진행 상황에 "이슈없음" 으로 표시되는 건 지정한 버전에서 처리하기로 한 이슈가 등록되어 있지 않음.백로그 ➡️ 버전생성 백로그에서 만드나 릴리스에서 만드나 동일하고 접근 방법 차이 이슈에 Version 할당버전을 지정할 이슈를 칸반보드에서 선택버전이 없는 경우 ‘없음’으로 나옴 → 버전을 선택해서 할당  수정 버전은 여러 개 할당.. 2025. 2. 23.
JIRA 이해하기➡️ 이슈(Issue) 와 필드(Field) JIRA IssueJira에 대한 활용도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Issue, Field에 대해서 작성해본다. Jira 의 이슈는 프로젝트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업무를 모델링하기 위해 여러 가지 항목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Issue Field라고 말함.→ 이슈의 상세 정보에서 필드들을 볼 수 있으며 보드에서 이슈를 클릭하면 상세 정보 대화창이 표시됨.Jira 의 이슈에는 많은 필드가 있는데 필수 필드와 옵션 필드가 있고  상세한 항목은 프로젝트마다 다름.한글 버전을 사용해도 JQL 쿼리는 영문 필드명을 사용 → 즉 담당자의 영문 필드명인 assignee 를 알아야 JQL 에서 담당자별로 조회 가능.이슈 키(Issue Key)Jira 의 이슈는 반드시 하나의 프로젝트에 속해야 하며 이슈마다 유일한 값인 .. 2025. 2. 22.
[Docker] Docker 명령어 익히기/ stop과 kill의 차이점, 명령어 실습 🛑docker stopdocker를 실행했다면 멈추는 명령어 또한 존재한다.그것이 docker stop과 docker kill이다. 🗡️  docker stop vs docker kill stop과 kill 모두 중지를 시키는건데 차이점이 있을까?Stop은 Gracefully 하게 중지를 시킨다.삭제를 하는 과정에서 일종의 확인절차를 거친 후에 삭제를 한다.SIGTERM과 SIGKILL 이후에 중지Gracefully가 영어로 해석하면 '우아하게'이다. 즉, 그냥 무작위로 중지를 시키지않고 우아하게 지운다.(?)Kill은 어떠한 과정없이 바로 중지를 시킨다.Linux rm -rf 명령어와 살짝 유사하다.docker stop [Contianer ID]왼쪽은 docker container에서 localho.. 2025. 2. 21.
[Docker] Docker(도커)의 Container 나열! PS 명령어 활용해보기 / docker create + docker start = docker run 컨테이너 실행명령어 실습 💿 docker ps도커 컨테이너를 생성했다면, 해당 컨테이너 리스트를 볼 수 있는 명령어가 docker ps라는 가장 기본적인 명령어이다.ps는 process status의 약자로 현재 동작중인 컨테이너만 확인이 가능하다.docker run alpine ping localhostalpine이라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데 ping 명령어를 localhost에 보내는 것이다.docker ps해당 명령어로 alpine 이미지가 실행되어 ps명령어에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docker ps 설명 CONTAINER ID: 컨테이너의 고유한 아이디 해쉬값IMAGE: 컨테이너 생성 시, 사용한 도커 이미지COMMAND: 컨테이너 시작 시, 실행될 명령어 CREATED: 컨테이너가 생성된 시간.STATU.. 2025. 2. 20.
[Docker] Docker Clinet&Server와 Docker(도커)의 기본적인 흐름 이해하기 💻Docker Client 와 Server docker client는 쉽게 말해 Docker가 설치되어 있는 Local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docker client 는 /var/run/docker.sock에 위치한 유닉스 소켓을 통해 도커 데몬의 API를 호출한다. 이때의 소켓은 같은 호스트 내에 있는 도커 데몬에게 명령을 전달할 때 사용한다.docker server는 daemon이라고 불리는데 client 즉, CLI의 명령어를 받아서 작업을 하는 곳.docker server 즉 daemon은 전달받은 명령어를 파싱해 명령어에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containerd와 통신한다.도커의 기본적인 흐름은 아래와 같다.더보기1. docker run $$$ 으로 실행2. 도커가 설치되어 있는.. 2025. 2. 19.
[Docker] Docker(도커) Image(이미지)와 Contianer(컨테이너) 정의와 개념 정리 🐳 Docke Contianer 개념컨테이너는 코드와 모든 종속성 패키지를 묶어서 응용 프로그램이 한 컴퓨팅 환경에서 다른 컴퓨팅 환경으로 빠르고 안정적으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표준 단위!중요 기능은 컨테이너 내부에서 실행되는 컴퓨팅 환경의 표준화다. (standardization of the computing environment running inside the container.)응용 프로그램이 동일한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할 뿐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공유도 단순화한다.컨테이너는 자율적(autonomous)이기 때문에 strong isolation을 제공하며 서로 방해하지 않는다.   👉🏻 격리!! 하드웨어 수준에서 가상화가 이루어지는 VM과 달리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가상화!하나의 .. 2025. 2. 18.
[Docker] Docker(도커)의 기본 개념과 Container(컨테이너) 기본 개념 정리 도커를 쓰는 이유? '어떠한 프로그램을 다운 받는 과정을 간단하게 만들기 위함' 위 과정에서 설치과정 중에서 에러가 발생 할 수있다.어떠한 서버를 사용하는지? 패키지는 어떻게 사용하는지? 운영체제의 차이 등등이러한 부분을 하나하나 맞추기가 어렵고 까다롭다. 위 과정을 단순하게 하는것이 Docker이다. ❓What is Docker??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응용프로그램을 더 쉽게 만들고 배포하고 실행 할 수 있도록 설계 된 도구.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호스트OS 안에서 여러 컨테이너를 동시에 실행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커는 컨테이너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오케스트레이션(Work flow의 자동화)된 서비스로 배포할 수 있습니다. ❓What is Container??일반적인.. 2025. 2.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