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77 [AWS] S3 파일 삭제 후 파일 및 디렉토리 복구하기(Terraform<-> S3 연동 시 Terraform state 삭제 시 발생하는 문제) AWS에서 저장하는 스토리지로 가장 많이 활용하는 S3이다.최근에 Terraform을 연동해서 AWS 리소스를 생성하는 작업을 하면서 테스트를 하던 와중에 Terraform State 파일 디렉토리가 잘못되어서 다시 설정하기 위해서 무의식적으로 기존에 있던 디렉토리를 삭제했다. 그러고 terraform destory 명령어가 작동하지 않았다. 👉 state 파일이 없기 때문에 삭제도 불가능...어쩌면, Terraform의 가장 큰 단점이기도 하다. 여기서 매우매우 중요한 사실! Terraform State 즉, Terraform 상태 파일에는 현재 관리 중인 리소스의 상세 정보가 저장되어있다. 이 파일을 삭제하면 Terraform은 AWS에 존재하는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잃어버려, 해당 리소스를 .. 2024. 4. 30. [AWS] EBS(Elastic Block Store) 개념 및 과금에 대한 내용... EC2는 중지해도 EBS 과금은 발생한다!! 2024.04.29 - [Amazon Web Service] - [AWS] Terraform으로 대량의 EC2생성 시 발생하는 Capacity 에러, Service Quotas 그리고 EC2 시작 또는 생성 시 발생하는 문제 해결 및 개념 정리 [AWS] Terraform으로 대량의 EC2생성 시 발생하는 Capacity 에러, Service Quotas 그리고 EC2 시작 또는 생성최근에 Terraform으로 약 200개의 EC2를 한번에 생성하다가 62개까지 생성 후, 생성하지 않는 오류가 발생했다.그래서 관련해서 개념을 찾고 정리하기 위해서 블로그를 정리해보려한다. 에러는 다음cloudjs.tistory.com이전 글에서 Terraform 생성 시, EC2 생성 제한에 문제에 대한 내용과 솔루션을 .. 2024. 4. 30. [AWS] Terraform으로 대량의 EC2생성 시 발생하는 Capacity 에러, Service Quotas 그리고 EC2 시작 또는 생성 시 발생하는 문제 해결 및 개념 정리 최근에 Terraform으로 약 200개의 EC2를 한번에 생성하다가 62개까지 생성 후, 생성하지 않는 오류가 발생했다.그래서 관련해서 개념을 찾고 정리하기 위해서 블로그를 정리해보려한다. 에러는 다음과 같다.에러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해석하자면,AWS에서 특정 가용영역(AZ)에 t2.xlarge Instance에서의 gp3 타입의 EBS 볼륨이 장착된 t2.xlarge를 만들 capacity가 부족 리소스가 없다는 뜻이다.즉, EC2 만들때 root volume 타입에서 리소스가 부족!결국 해당 가용영역에서 EC2가 생성이 어렵다는 내용이다.사실 조금은 놀라웠다. AWS에서 생성할 수 있는 서버가 제한이 되어있는건가? 메가급 기업의 AWS에서 EC2가...? AWS문제이기 때문에 AWS 공식사이트에 정.. 2024. 4. 29. apt pip install 설치 에러(pip not found) 해결하기! sudo add-apt-repository universe 개념 및 적용해보기 pyhton 작업이 필요해서 로컬PC에 pip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했다. 단순히 apt install 명령어로 설치만 하는데 도채게 설치마저도 이렇게 에러가 발생하니....리눅스의 세계관은 넓고도 넓다... ㅎ ㅏ.......... AWS CodeCommit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pip를 설치하는 과정이었다. 다음과 같이 에러가 발생해서 snap이라는 명령어를 활용하면 될 것 같아. 해봤다... ㅎ ㅏ ㅈ ㅣ 만.... Sudo 권한 문제 발생... 그래서 다시 sudo를 해서 했더니... python-pip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를 찾지못했다고한다!?!? 예??? 내가 위치까지 지정해야하나??? 패키지는 자동설치인데????? 뭐지.....당황... 그래서 일단 sudo apt update.. 2024. 4. 21. Packer 설치 과정에서 SSH handshake err: ssh: handshake failed: ssh: unable to authenticate, attempted methods [none publickey], no supported methods remain 에러 발생 및 해결하기 Packer로 AMI Build를 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에러를 만났다.... 필자는 개발과정에서 단한번도 한큐에 성공해본 경험이 없다.....왜일까ㅠㅠㅠ 관련해서 구글링으로 이것저것 찾아보니까, Packer 파일 hcl, json코드에 AMI 관련 코드에서 ssh-key쪽을 수정해야한다는 대부분의 답변을 봤다. 근데 여기서 큰 문제가 있다..... 필자는 JSON코드에 해당 코드가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다..... 사람들의 대부분 해결 방법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했다. GPT한테 물어봤지만 GPT도 근본적으로 SSH-key 수정이 필요하다고했다....사실 말만 그렇지만 이해를 완전히 하지 못했다. 그래서 일단 찾은 방법으로 두가지를 시도했는데 아래와 같았다. 1. 리눅스 유저를 root와 동일하게 변경 .. 2024. 4. 20. Ubuntu apt-get update 명령어 이후, Some index files failed to download. 에러 발생 및 해결하기 새로운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우분투에서 apt-get update 명령어를 사용해서 update를 하던 와중에 아래와 같은 에러를 만났다. ㅎ ㅏ......그놈의 에러..... 리눅스 에러는 정말 볼때마다 친해지기는 어렵다... E: Some index files failed to download. 인덱스 파일 다운안되고.....뭐...어쩌구 저쩌구.... 구글링을 해본 결과 apt 패키지 안에 서버의 문제라고 답이 나오는 상황이었다.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참조한 블로그는 다음과 같다. sudo apt-get upgrade 다운로드 서버 변경 sudo apt-get upgrade 를 하니까 E: Some index files failed to download. They have bee.. 2024. 4. 19. [후기 및 회고] '오늘, 또 일을 미루고 말았다'룰 읽고...시간관리의 중요성! [시간관리를 잘 하면 인생이 행복해진다! - '오늘, 또 일을 미루고 말았다'를 읽고나서 📖] 최근에 클라우드 분야로 이직을 성공하면서, 이전 직장 본부장님의 축하를 받으면서 한권의 책을 추천받았습니다. 이직을 하면서, 새로운 도전을 하는 저한테 필요한 내용의 책이었고, 이 책을 읽으면서 이미 실천하고 있었던 부분도 있었고, 새롭게 배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제가 이미 느끼고 실천하고 있었던 부분을 공유해 드리려고 회고를 간단히 적어보려고 합니다. 📗1.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해 싫은 일을 먼저 해치웠던 것이다. 집중할 수 없다면 최대한 빨리 끝내는 게 답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인상 깊게 와 닿으면서 이미 제가 생활 속에서 실천하고 있었던 부분이었습니다.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해서는 .. 2024. 4. 10. AWS IAM 정책(Policy), 역할(Role) 차이점 그리고 개념,이해하기! AWS IAM을 개념적으로 학습하고 적용하던 와중에 갑작스러운 의문이 들었다. 사실은 단순하게 IAM은 기본적인 계정 보안을 위한 AWS서비스로 가볍게 이해헀다. 사실은 틀린 것은 아니지만, 여기서 더 깊이 들어가지 않았다. 그래서 든 의문점.... Policy(정책)과 Role(역할)의 차이점은 뭐지? 이 두개가 User에게 어떻게 적용이 되는거지? 그래서 먼저 AWS IAM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차용해서 가져왔다. 위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IAM 자체가 보안,자격 증명, 규정준수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고,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ID 안전하게 관리이다. 개념 계정에서 생성할 수 있는 특정 권한을 가진 IAM 자격 증명입니다. IAM 역할은 IAM 사용자와 몇 가지 점에서 유사합니다. 역할과 .. 2024. 4. 9. [코멘토(Coment)] 실무PT 후기 챌린지_ 개발 퀄리티를 높이는 AWS Kubernetes 컨테이너 플랫폼 구축 및 배포 강의 5주차 후기 벌써 마지막을 향해 가는 코멘토 수업이다.... 그래서 지금 작성하는 블로그는 5주차 실무PT 후기이다..! 시간이 참 빠른 것 같다. 그래도 이번 과제와 실무PT 후기는 다행히 작성하는데 여유가 있었다...! 왜냐하면, 설날 연휴!!!!! 😎😎😎 새해에는 꼭 클라우드 엔지니어 or 데브옵스 엔지니어로 성공하기를 기원하고.... 나와 같이 클라우드 업계로 함께하는 동료들도 잘되기를 바란다...! 💪🏻💪🏻💪🏻💪🏻 시간이 지날수록 배우는 내용은 심화적이고, 어려워졌다...진짜...갈수록 어려워지는 난이도.... 쿠버네티스...너란 놈..... HELM에 대해서 학습을 했다. Helm은 간단히 말해서, Kubernetes 패키지 관리를 도와준다. 즉,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컨테.. 2024. 2. 15. 이전 1 2 3 4 5 6 ··· 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