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해당 포스팅은 코멘토 과제를 작성한 내용입니다. 내용 보다는 실습 캡쳐본이 대부분입니다.
[과제1] Kubernetes Yaml Manifest로 Resource Object 배포
- Kubernetes Manifest 네임스페이스 생성

- Yaml Manifest를 배포 확인

- POD로 구성된 마이크로서비스의 로그를 확인

- POD, Service 현황 확인

- AWS에서 ELB 생성 현황 확인

- POD로 구성된 마이크로서비스로의 정상 접속 확인

왜 503 에러가.... 🫠
[과제2] Kubernetes Resource Object의 상태 변경/비교/삭제 방법 수행
- 구성파일에 따라 활성 Object를 업데이트 확인

- 구성파일에 정의한 Object에 변경에 관한 비교 정보 확인

- 구성파일에 정의한 Object를 삭제후 결과 확인
[과제3] Helm Charts 생성 및 코드 변경후 EKS에 Helm Chart 배포, Ingress를 통한 접속 확인
- Helm Custom Chart 생성


- Helm Template에 Ingress 포함 Custom하게 추가/수정/삭제 할 부분 정리 및 반영



- values.yaml 값 추가/변경/삭제

- helm install을 통한 릴리즈 배포
- Ingress를 통한 접속 확인 및 결과 확인
[과제4] Helm Charts 릴리즈의 버전 관리를 수행
- Helm Chart 릴리즈 업그레이드 수행후 결과 확인

- Helm Chart 릴리즈 Rollback 수행후 결과 확인


- Helm Chart 릴리즈 삭제 및 결과 확인

5주차 과제 끝!!!!!!! 정말 어려웠고, 힘들었다.....
모든 과제가 끝났다!!!!!!
728x90
반응형